우분투를 쓸 때 불편한 것들 중 대표적인 것이 인터넷 금융, 쇼핑, 방송이다.
우리나라 인터넷이 W3C표준을 지키지도 않고, MS activeX에 하도 의존하다 보니 그렇게 된 것이다.
얼마 전 기사를 보니 MS IE8.0 시험판에서 우리나라 사이트들이 제대로 열리지 않았다고 한다.
MS에서 activeX를 배제하고 개발해서 그렇다고 한다.
결국엔 그렇게 믿고 있던 MS에게 뒤통수 맞는 꼴이 되는 건가?
운영체제 중 윈도우 하나에만 의존해서 만든 결과지만 한심한 일이다.
글쎄... 어떻게 될지 정확히 모르겠지만, 결국엔 MS에 애걸복걸 읍소해 activeX를 살리는 방향으로 하지 않을까 예상해 본다.
만약 위에서 말한대로 된다면 너무 쪽팔리지 않는가?
각설하고 우분투에서 라디오 듣기를 알아보자.
우분투에 기본으로 설치된 음악 플레이어는 “리듬박스”다.
리듬박스는 mp3와 CD 등의 음악을 들을 수 있는 기본 기능과 인터넷 라디오, podcast 등 인터넷 방송을 들을 수 있는 기능이 있다.
-. 음악시디는 넣으면 자동으로 인식해서 재생한다.
-. mp3, ogg 등 음악파일은 상단 메뉴의 음악에서 파일가져오기나 폴더가져오기로 열어서 들을 수 있다.
-. 인터넷 방송은 왼쪽 메뉴의 라디오 버튼을 누르면 목록이 나온다. 이 목록 중 들으려는 방송을 더블 클릭하면 들을 수가 있다.
-. 인터넷방송을 추가하려면 상단 메뉴 중 “새 인터넷 라디오 방송국”을 클릭하고 방송국 주소를 입력하면 목록에 새 방송국이 추가 된다.
인터넷에 찾아보면 많은 mms 주소들이 나와 있는데 그 중에 테스트해보고 되는 것들만 적는다.
앞으로 테스트 해보고 되는 것들이 있으면 추가하도록 하겠다.
뮤클 캐스트 - http://www.mukulcast.com/listen.pls
386fm - http://www.386fm.net/listen.pls
앞서도 말했지만 우분투 사용자는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공중파 방송을 윈도우에서 처럼 보거나 듣기 힘들다.
ActiveX로 매닥질해 놓거나 별도의 프로그램(미니, 콩 등)을 설치해야 하는 탓이다.
하지만 테스트해 보니 KBS는 홈페이지에서 로그인하고 온에어를 누르면 방송을 듣거나 볼 수 있었다.
그리고 무료로 볼 수 있는 시사교양 프로그램(스펀지, 다큐3일, 한국사전, 소비자고발 등등)들은 다시보기도 가능했다.
돈 내고 보는 프로그램은 보지 않아서 되는지 안 되는지 알 수가 없다.
아마 결제 때문에 안 될 것 같다. ^^;
하지만 iMBC는 파이어폭스로 보거나 들을 수가 없었다.
우리나라 인터넷이 W3C표준을 지키지도 않고, MS activeX에 하도 의존하다 보니 그렇게 된 것이다.
얼마 전 기사를 보니 MS IE8.0 시험판에서 우리나라 사이트들이 제대로 열리지 않았다고 한다.
MS에서 activeX를 배제하고 개발해서 그렇다고 한다.
결국엔 그렇게 믿고 있던 MS에게 뒤통수 맞는 꼴이 되는 건가?
운영체제 중 윈도우 하나에만 의존해서 만든 결과지만 한심한 일이다.
글쎄... 어떻게 될지 정확히 모르겠지만, 결국엔 MS에 애걸복걸 읍소해 activeX를 살리는 방향으로 하지 않을까 예상해 본다.
만약 위에서 말한대로 된다면 너무 쪽팔리지 않는가?
각설하고 우분투에서 라디오 듣기를 알아보자.
우분투에 기본으로 설치된 음악 플레이어는 “리듬박스”다.
리듬박스는 mp3와 CD 등의 음악을 들을 수 있는 기본 기능과 인터넷 라디오, podcast 등 인터넷 방송을 들을 수 있는 기능이 있다.
-. 음악시디는 넣으면 자동으로 인식해서 재생한다.
-. mp3, ogg 등 음악파일은 상단 메뉴의 음악에서 파일가져오기나 폴더가져오기로 열어서 들을 수 있다.
-. 인터넷 방송은 왼쪽 메뉴의 라디오 버튼을 누르면 목록이 나온다. 이 목록 중 들으려는 방송을 더블 클릭하면 들을 수가 있다.
-. 인터넷방송을 추가하려면 상단 메뉴 중 “새 인터넷 라디오 방송국”을 클릭하고 방송국 주소를 입력하면 목록에 새 방송국이 추가 된다.
<인터넷 방송 추가>
1. 왼쪽 메뉴 중에 라디오를 선택한 다음 상단 메뉴의 새인터넷라디오를 클릭한다.
아래 그림의 붉은 상자
2. 새방송국 추가 창이 뜹니다. 추가하려는 방송국 주소를 입력합니다.
3. 방송국이 추가 되었습니다.
방송국의 이름을 오른쪽 마우스 클릭하면 속성 메뉴가 뜨는데, 여기서 이름을 바꿔 줄 수 있다.
4. 방송국을 더블 클릭하면 플레이가 된다.
힌글화가 되어있지 않아서 노래 제목이 이상한 문자로 나온다. --;
인터넷에 찾아보면 많은 mms 주소들이 나와 있는데 그 중에 테스트해보고 되는 것들만 적는다.
앞으로 테스트 해보고 되는 것들이 있으면 추가하도록 하겠다.
뮤클 캐스트 - http://www.mukulcast.com/listen.pls
386fm - http://www.386fm.net/listen.pls
fm386 - http://m386.saycast.com
대전 MBC FM4U – mms://VOD.tjmbc.co.kr/0becb_FM
대전 MBC 표준FM – mms://VOD.tjmbc.co.kr/0becb_AM
FM4U - ://211.117.193.99/fmgjmbc
- ://211.117.193.99/amgjmbc
대구 MBC FM4U – mms://vod1.dgmbc.com/fmlive
대구 MBC 표준FM – mms://vod1.dgmbc.com/amlive
목포 MBC FM4U – mms://210.221.163.25/encoder-fm
목포 MBC 표준FM – mms://210.221.163.25/encoder-am
SBS AM – mms://live.sbs.co.kr/am
앞서도 말했지만 우분투 사용자는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공중파 방송을 윈도우에서 처럼 보거나 듣기 힘들다.
ActiveX로 매닥질해 놓거나 별도의 프로그램(미니, 콩 등)을 설치해야 하는 탓이다.
하지만 테스트해 보니 KBS는 홈페이지에서 로그인하고 온에어를 누르면 방송을 듣거나 볼 수 있었다.
그리고 무료로 볼 수 있는 시사교양 프로그램(스펀지, 다큐3일, 한국사전, 소비자고발 등등)들은 다시보기도 가능했다.
돈 내고 보는 프로그램은 보지 않아서 되는지 안 되는지 알 수가 없다.
아마 결제 때문에 안 될 것 같다. ^^;
하지만 iMBC는 파이어폭스로 보거나 들을 수가 없었다.
'프리웨어가 좋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프로 만화 그리기 2 (0) | 2009.10.19 |
---|---|
김프로 만화 그리기 1 (0) | 2009.10.15 |
신나는 슈팅게임 GridWars (0) | 2009.02.07 |
곰오디오 내 마음대로 미니 스킨 (0) | 2008.10.16 |
우분투에서 와콤 타블렛 설정하기 (0) | 2008.07.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