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리웨어가 좋다

우분투에서 와콤 타블렛 설정하기

이뤄질꿈 2008. 7. 29. 16:46
우분투를 처음 접한 것이 아마 작년 이맘때 였던 것 같다.

눅스라는 오픈 소스 운영체제가 있다는 것은 예전부터 알고는 있었다.

2000년대 초에 직장에서 함께 일하던 프로그래머들이 힘들게 리눅스를 까는 것을 보고 내가 할 짓(?)은 아니구나 생각했었다.

그래서 ‘리눅스 = 너무 어려운 운영체제’라는 생각이 머리에 각인돼 있었다.

하지만 작년에 우분투 사용자들의 블로그를 보고 “아, 이건 좀 쉽겠구나!”라는 생각이 들었다.

처음에는 wubi라는 윈도우에서 가상으로 설치하는 우분투를 시험삼아 깔아보았다.

그렇게 처음 만난 것이 ubuntu7.04였다.

처음에는 사무실 컴퓨터에 wubi를 깔았고, 나중에 집 컴퓨터에 하드 하나 포맷해서 우분투를 깔아서 사용하기 시작했다.

그런데 처음에는 자주 사용할 수 없었다.

만화 그리는 걸 주업으로 하는데 타블렛이 잘 인식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우분투 7.10까지만 해도 내가 사용하는 bamboo가 잘 인식되지 않았다.

그런데 올해 나온 8.04 버전을 설치하고 여기저기 블로그를 돌아다니던 중 설치방법을 알아내서 지금은 타블렛을 잘 사용하고 있다.


콤 설치법은 “거만한영혼”님 의 블로그(http://hasp.tistory.com/225)에 화면 캡쳐까지 해서 아주 자세히 나와 있다.


타블렛을 설정하려면 필요한 파일들을 설치하고 /etc/X11/xorg.conf 파일을 열어서 바꿔줘야한다.

프로그램>보조프로그램>터미널을 실행해서 sudo gedit /etc/X11/xorg.conf 명령을 입력한다.

그러면 gedit이라는 프로그램이 열리고 여기서 설정을 추가해주면 된다.

현재 내 컴퓨터에 있는 xorg.conf 파일을 열어보면 다음과 같이 되어있다.

빨간색 부분을 복사해서 해당 위치에 추가하고 다시 시작하면 와콤 타블렛이 잘 움직일 것이다.


# xorg.conf (X.Org X Window System server configuration file)

#

# This file was generated by dexconf, the Debian X Configuration tool, using

# values from the debconf database.

#

# Edit this file with caution, and see the xorg.conf manual page.

# (Type "man xorg.conf" at the shell prompt.)

#

# This file is automatically updated on xserver-xorg package upgrades *only*

# if it has not been modified since the last upgrade of the xserver-xorg

# package.

#

# If you have edited this file but would like it to be automatically updated

# again, run the following command:

# sudo dpkg-reconfigure -phigh xserver-xorg


Section "InputDevice"

Identifier "Generic Keyboard"

Driver "kbd"

Option "XkbRules" "xorg"

Option "XkbModel" "pc105"        

Option "XkbLayout" "kr"             
Option "XkbVariant" "kr104"        

EndSection


Section "InputDevice"

Identifier "Configured Mouse"

Driver "mouse"

Option "CorePointer"

EndSection



Section "InputDevice"          ----> 마우스에 관한 설정이 끝난 곳부터 타블렛 설정을 넣는다.

Driver "wacom"

Identifier "stylus"

Option "Device" "/dev/input/wacom" # Change to

# /dev/input/event

# for USB

Option "Type" "stylus"

Option "ForceDevice" "ISDV4" # Tablet PC onLY

EndSection


Section "InputDevice"

Driver "wacom"

Identifier "eraser"

Option "Device" "/dev/input/wacom" # Change to

# /dev/input/event

# for USB

Option "Type" "eraser"

Option "ForceDevice" "ISDV4" # Tablet PC onLY

EndSection


Section "InputDevice"

Driver "wacom"

Identifier "cursor"

Option "Device" "/dev/input/wacom" # Change to

# /dev/input/event

# for USB

Option "Type" "cursor"

Option "ForceDevice" "ISDV4" # Tablet PC onLY

EndSection          ----> 여기까지가 타블렛 설정!



Section "Device"

Identifier "Configured Video Device"

EndSection


Section "Monitor"

Identifier "Configured Monitor"

EndSection


Section "Screen"

Identifier "Default Screen"

Monitor "Configured Monitor"

Device "Configured Video Device"

EndSection


Section "ServerLayout"

Identifier "Default Layout"

Screen "Default Screen"


InputDevice "stylus" "SendCoreEvents"          ---->그리고 제일  끝에 인풋 설정 추가.

InputDevice "cursor" "SendCoreEvents"

InputDevice "eraser" "SendCoreEvents"

EndSection